SNMP란?
SNMP(Simple Network Managemnet Protocol)이란?
간이 망 관리 프로토콜(Simple Network Managemnet Protocol, SNMP)은 IP 네트워크 상의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며, 또한 정보를 수정하여 장치의 동작을 변경하는 데에 사용되는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이다. SNMP를 지원하는 대표적인 장치에는 라우터, 스위치, 서버, 워크스테이션, 프린터, 모뎀랙 등이 포함된다.
SNMP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관리 컴퓨터("매니저"라고 함)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호스트나 장치들의 그룹을 관리하거나 감시하는 일을 맡는다. 관리를 받는 각각의 시스템은 에이전트라는 이름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실행하여 SNMP를 통해정보를 매니저로 전달한다.
SNMP 통신 원리
SNMP는 Manager와 Agent로 구분됩니다.
Manager는 Agent에게 정보를 요청하며, Agent는 Manager로부터 받은 요청에 응답하고 정보를 전달합니다.
여기서 Agent는 SNMP를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장치들을 뜻하며, Agent로부터 받은 정보들을 시각화하여 인프라 운영을 보다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됩니다. (=NMS 모니터링 시스템을 뜻함) NMS에 관련 내용은 추후에 작성 예정
1. Polling 방식
- UDP/161를 사용하며, Manager의 요청에 Agent가 응답하는 방식
2. Reporting 방식
- UDP/162를 사용하며, 이상 징후가 생긴(설정된 임계값에서 벗어나는 상황) Agent가 스스로 이 상황을 인지하고 해당 정보를 Manager에게 보내는 방식
구분 | 설명 |
Get Request | Manager가 Agent에게 특정 정보를 요청할 때 사용한다. |
Get Next Request | 기본적으로 Get과 같은 의미이지만, SNMP에서는 각 정보가 계층 구조로 관리된다. 그래서 Get Next는 특정 계층 아래에 있는 정보를 요청할 때 사용한다. |
Set Request | Manager가 Agent에게 특정 값을 설정할 때 사용한다. |
Get Response | Manager가 보낸 요청에 응답할 때 사용한다. |
Trap | Agent에 설정된 특정 임계값을 벗어나는 경우(이벤트가 발생) Manager에게 알리기 위해 사용한다. Flag 항목별 의미 (0~6) 0, Cold Start : Agent 초기화 1, Warm Start : 아무런 설정 변경없이 Agent 초기화 2, Link Down : 인터페이스 통신 끊김 3, Link Up : 인터페이스 통신 연결 4, Authentication Failure : 커뮤니티 불일치(인증 실패) 5, Egp Neighbor Loss : EGP 상태 변화 6, Enterprise Specific : 벤더별 특정 코드값 (Trap) |
SNMP 통신 조건
아래의 조건들을 갖추고 있어야 통신이 가능합니다.
1. SNMP Version
- 버전 별로 설정 파일의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반드시 서로 같은 버전을 사용해야 합니다.
2. Community String
- Community STring 값은 SNMP 통신에 필요한 암호이며, Default 값은 public와 private이다. 반드시 변경해야 하며, 서로 동일한 값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또한, RO(Read Only), RW(Read & Write) 두 가지 중 RO를 권장하는데, RW로 했을 때 사용자에게 수정 권한이 주어지므로 예기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Reference
https://ko.wikipedia.org/wiki/간이_망_관리_프로토콜
https://lifegoesonme.tistory.com/474